목차
서울시 반려동물 장례대행, 반려동물 장례비용 화장 비용 장례식장 (러브펫, 포포즈, 21그램, 마스꼬다휴)
01
of 11
지원대상 반려동물
서울시에 등록된 개 (고양이 제외)
02
of 11
지원대상
반려견 사체와 동행하여 화장업체로 이동이 어려운 약자
① 국민기초생활수급자
② 차상위계층 (중위소득 50% 이하)
③ 한부모가족 (중위소득 60% 이하)
④ 독거노인 중 기초생활수급자 (중위소득 70% 이하)
※ 확인서류 :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, 차상위계층 확인서, 한부모 가족증명서, 기초연금 수급자 확인서
03
of 11
지원내용
반려견 장례대행 서비스 (비동행시에만) 지원 및 화장비용 할인
① 서울시 : 반려견 장례대행 서비스 지원 (상담·수습·보관·이송)
② 장례협회 : 반려견 장례대행 서비스 지원사업 연계시 화장비용 할인 (5 ~ 7만원)
업체명 | 주소지 |
러브펫 광주점 | 경기 광주시 초월읍 현산로361번길 12 (지월리 712-10) |
포포즈 광주점 | 경기 광주시 초월읍 산수로 409-11 (신월리 592-19) |
포포즈 양주점 | 경기 양주시 광적면 부흥로 145 (비암리 583-4) |
포포즈 김포점 | 경기 김포시 월곶면 애기봉로 262 (개곡리 810-1) |
21그램 광주점 | 경기 광주시 매자리길 185-35 (매산동 139) |
21그램 남양주점 |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수레로964번길 86 (차산리 856-1) |
마스꼬다휴 김포점 | 경기 김포시 통진읍 애기봉로681번길 73-20 (귀전리 3-15) |
업체명 | 현재 화장비용 | 할인비용 |
러브펫 광주점 | 2kg미만 17만원 (kg당 1만원식 추가) | 5만원 / 마리 |
포포즈 광주점 | 10kg미만 25만원 (kg당 1만원씩 추가) | 7만원 / 마리 |
포포즈 양주점 | 10kg미만 25만원 (kg당 1만원씩 추가 | 7만원 / 마리 |
포포즈 김포점 | 10kg미만 25만원 (kg당 1만원씩 추가 | 7만원 / 마리 |
21그램 광주점 | 15kg미만 30만원 / 15kg이상 55만원 | 7만원 / 마리 |
21그램 남양주점 | – | 7만원 / 마리 |
마스꼬다휴 김포점 | 5kg이하 20만원 (kg당 1만원식 추가) | 5만원 / 마리 |
04
of 11
지원기간 / 목표
① 2023년 7월 10일 (월) ~ 12월 19일 (화)
② 반려동물 600마리 지원
※ 상기기간은 예산 소진 시 조기중단될 수 있습니다.
05
of 11
진행절차
① 장례상담
- 동물화장장 안내 (경기, 인천)
- 서울시 장례지원 사업 홍보
② 사체수습
- 종이관 등 활용
③ 비용수납
- 장례비용 수납 (계좌이체 등)
- 수납자 정보전달
④ 사체보관
- 냉장보관 (보관기간 설정) ※ 보관장소 : 2개소
⑤ 이송화장 (동물화장장)
- 개별 화장 후 산골 또는 유골 택배 발송
06
of 11
지원문의
한국동물장례문화원 (02-6338-0124)
07
of 11
서울시 반려동물 장례대행 시범서비스
서울시는 오는 7월 10일부터 12월 19일까지 6개월간 전국 최초로 사회적 약자의 반려견 장례 대행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, 국민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, 기초연금수급자인 독거노인 대상으로 총 600마리까지 지원한다고 밝혔다.
서울시민 중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가정은 22.2%로 반려인가구는 매년 늘고 있다. 반려견은 정서적 안정과 치매예방, 활력있는 생활, 정서적 교감 등 건강과 심리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. 가족과도 같은 반려동물을 떠나보내는 것은 반려인에게 큰 슬픔이지만 현행법상 동물사체를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넣어 폐기물로 처리하도록 되어있어 국민 정서와는 괴리감이 크다.
※ 서울서베이 2022 조사 결과 : 서울시민 중 반려동물 반려 가구 22.2%
08
of 11
반려동물 장례대행 서비스 신청 방법, 진행 절차, 화장 비용, 화장 후 정보제공
‘반려견 장례대행’은 소중한 반려동물의 마지막 길의 부담을 덜고 올바른 동물장례 문화를 확산해나갈 수 있도록 올해 처음으로 마련되었다. 사회적 약자가 반려견 사체와 동행하여 동물화장장으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장례 대행 서비스를 신청하면 자택으로 반려동물 장례지도사가 방문하여 사체를 위생적으로 수습하고, 일정 기간 냉장 보관 후 경기도의 동물화장장으로 이송하여 화장하게 된다.
비동행 장례대행 서비스 신청 방법, 진행 절차, 화장 비용, 화장 후 정보제공 등에 관련된 사항은 (사)한국동물장례협회의 산하기관인 한국동물장례문화원 (☎ 02-6338-0124)에 문의하면 된다.
09
of 11
반려동물 장례비용, 반려동물 화장비용
반려견 장례대행(수습·보관·이송)은 서울시가 그 비용을 부담하고, 화장 등 기타 비용은 개인이 부담하게 되나, (사)한국동물장례협회 회원업체 6곳은 마리당 화장비용의 5 ~ 7만원을 할인해 주기로 합의하였다.
동물장례 대행 비용은 통상 5 ~ 7만원이며, 반려견의 화장은 kg에 따라 20 ~ 55만원의 비용이 든다.
10
of 11
사회적 약자의 반려동물 화장지원
사회적 약자의 화장지원에 참여하는 업체는 ▴21그램 경기광주점 ▴러브펫 ▴포포즈 경기광주점 ▴마스꼬다휴 ▴포포즈 김포점 ▴포포즈 양주점이며, (사)한국동물장례협회는 향후 추가업체를 늘려갈 계획이다.
서울시민들은 경기·인천에 있는 동물화장장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, 특히 독거노인 등의 사회적 약자에게 높은 동물장례비용과 원거리 이동은 동물화장장 이용에 큰 부담으로 여겨졌다. 또한, 2021년 서울시 조사결과 시민들이 반려동물 화장장을 이용하여 사체를 처리하는 비율은 46.8%로 전국보다 그 이용률은 높으나, 반려동물 사체를 종량제 봉투로 처리하는 시민도 13.1%나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.
전국의 경우 반려동물 화장장의 이용율은 30%이며, 사체를 종량제봉투로 처리하는 비율은 5.7%인 것으로 조사되었다.
이에 서울시는 (사)한국동물장례협회와 협력하여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사체 처리 방식을 지양하고, 사회적 약자의 동물장례 이용의 어려움을 해소코자 이번 시범사업을 기획하게 되었다.
유영봉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“사회적 약자에게 더욱 더 소중한 가족인 반려동물의 마지막 길을 잘 배웅하고, 합법적인 장례를 잘 치를 수 있기를 바란다.”며, “이번 시범사업이 반려동물 사체를 생활폐기물로 처리하는 안타까운 사례를 줄이고 생명 존중 문화 함양과 올바른 동물장례 문화 확산의 계기 되었으면 한다.”고 말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