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2023년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모집 공고
전라남도는 도내 거주하는 청년의 문화생활 향유 및 자기발전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「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」 대상자를 다음과 같이 모집하니 많은 신청바랍니다.
01
of 11
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이란
전남도에 거주하는 청년 (19세 ~ 28세)을 대상으로 공연관람, 학원수강, 도서구입 등 문화복지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
※ 일정 지원조건 (거주, 연령 등)을 충족할 경우 문화복지비 연 20만원 지원
02
of 11
신청대상
1. 신청자격 : 도내 2년 이상 거주 청년 (19세 ~ 28세) ※ 2023. 2. 1. 기준
① (거주) 2021. 2. 1.부터 도내에 주소를 두고 계속 거주 (2년 이상)
② (연령) 19세 이상 ~ 28세 이하인 청년 (1995~2004년도 출생자)
※ ①, ②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하며, 소득기준 없음
2. 제외대상
① 복지포인트 (카드)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 ※ 공공기관 범위 [참고2]
- 공무원, 교사, 청원경찰, 공무직, 기간제 근로자 등
②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 당해연도 1회 이상 지급받았거나, 지급받을 자
- 학교 밖 청소년 등록 후 센터 내 프로그램 월 6회 이상 참여자 (19~24세, 월 20만원 지원)
③ 전라남도 여성농어업인 바우처 대상자 (여성농어업인 문화복지생활 지원, 연 20만원)
④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 (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문화예술 지원, 연 11만원)
- 단, 청년문화복지카드 20만원 중 문화누리비 (11만원) 제외하고 차액 지급
3. 환수 사유
① 제외대상자 (복지포인트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,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 대상자, 여성농어업인 행복바우처 대상자) 임에도 불구하고 지원금을 받은 경우
②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 임에도 문화복지비 전액을 지원받은 경우
③ 기타 사회 통념상 허위 기타 부정한 의도 및 방법으로 지원금을 지급받고자 한 경우
03
of 11
신청기간 및 제출서류
1. 신청기간 및 방법
① 신청기간 : 2023. 2. 1. ~ 2. 28. (1개월)
② 신청방법
- (방문신청) 신청자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시·군 읍·면·동 주민센터 평일 근무시간 (09:00~18:00) 방문
※ 본인 방문이 어려운 경우 가족 (부모, 배우자, 형제)에 한하여 대리 접수 가능하며 위임장 [서식3] 제출 - (온라인신청) 시 거주자는 광주은행 누리집, 군 거주자는 농협카드 누리집
※ 카드 신청기간에만 카드 신청 팝업창이 활성화되며, 본인인증 절차로 인해 본인만 신청 가능
2. 제출서류
① 신청서 1부 [서식1]
② 개인정보동의서 1부 [서식2]
③ 주민등록초본 1부
④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1부 ※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시 ③, ④ 제출 생략
04
of 11
카드발급 및 사용
1. 카드발급
① 광주·농협은행에서는 지원대상자에게 휴대전화 문자로 체크카드 발급 신청서 (URL) 발송
- 해당 은행 (시 지역:광주은행, 군지역:농협은행) 계좌가 있는 경우 카드만 발급 가능하며, 계좌가 없는 경우 계좌개설 후 카드발급으로 자동 안내
※ 온라인상 카드 신청이 어려운 경우 직접 은행 방문 - 시 지역 : 광주은행
- 군 지역 : 농협은행 중앙회 및 지역농협
② 카드 발급 신청서 제출 후 1주 내 카드 우편 송부 ※ 방문신청시 카드 즉시 발급
- 카드 사용 : 본인 수령시 즉시 사용, 본인 외 수령시 사용등록 후 사용 가능
③ 카드 분실‧훼손 시 은행에서 재발급 가능
2. 지원금액 및 카드사용
① 지원금액 : 1인당 연 20만원 지원
② 사용처 : 문화·공연 관람, 학원수강, 도서구입 등 전남 도내에서 사용 [참고1]
- 문화활동 및 자기계발을 위한 업종에서만 사용 가능, 그 외 업종은 사용 제한
- 온라인 및 광주광역시 등 타시도 사용 불가
③ 사용기간 : 2023. 4. ∼ 12. ※ 현금 교환 및 기한 내 미사용 시 이월 불가
④ 사용방법 : 사용처에 한하여 사용기간 동안 카드 금액 소진 시 까지 이용
【카드사용】 • 지원금 잔액 이상 금액 결제시 : 지원금 전액 + 체크카드 계좌 내 입금 금액 (예시 1) 지원금 잔액 2만원일 경우 5만원 결제시 : 지원금 2만원 지출, 개인 입금액 3만원 지출 • 지원금 (20만원)은 도내 문화복지업종에서만 사용가능, 개인 입금액은 모든 업종사용 가능
05
of 11
사업추진 일정
1. 자격요건 확인
접수서류를 기초로 신청자격 충족 여부 및 신청 제외대상 여부 확인
2. 대상자 선정
① 선정방법 : 자격요건에 부합하는 경우 시·군별 선정
② 통보방법 : 시·군별 개별 통보
3. 카드 발급
카드 우편 송부, 수령 후 카드 사용 가능
06
of 11
유의사항
① 접수된 서류는 모두 반환하지 않습니다.
② 기재사항 착오 및 누락, 허위 기재, 연락불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신청자의 책임으로 합니다.
③ 사업신청 후 카드 발급이 진행 동안 개명, 주민번호 변경, 휴대전화번호 변경 등 개인정보에 대한 변경이 있는 경우 대상자는 거주 시군에 직접 알려주어야 하며, 미통보로 인한 불이익은 개인에게 귀책사유가 있습니다.
④ 본 공고사항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, 변경되는 사항은 재공고 또는 개별 통보합니다.
⑤ 기타 자세한 내용은 ‘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Q&A’ [참고3]를 참조하여 주시고, 그 외의 경우는 신청자의 주소지 관할 시·군 사업부서 [참고4]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⑥ 사업신청 (2월) 후 요건 확인시 (3월) 타시도로 전출한 경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.
07
of 11
참고1.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사용처
1. 문화·여가
① 공연 관람 : 연극, 영화, 공연
② 전시 : 미술관, 박물관, 비엔날레, 화랑
③ 사진관
④ 체육시설 이용 : 헬스, 볼링, 수영, 요가, 필라테스, 에어로빅, 복싱, 탁구, 당구, 사격, 골프, 롤러스케이트, 승마, 스케이트, 스키, 태권도, 합기도, 유도, 스포츠 댄스, 방송댄스
2. 자기계발
① 학원수강 등 자기계발 강좌
② 도서 : 서점, 중고서점, 신문
③ 음악 : 음반, 악기 (악기소매점, 악기부속품) 구입
3. 관광
① 숙박 : 호텔, 리조트, 콘도, 모텔, 게스트하우스, 민박, 연수원
② 테마파크 : 놀이공원, 워터파크, 아쿠아리움
③ 체험관광 : 템플스테이, 레일바이크 짚라인 등
④ 휴양림, 캠핑장, 야영장, 캠핑용품점
※ 온라인 (인터넷, 앱 등) 결제 불가능, 전남 도내 (오프라인)에서만 사용 가능
※ 사용 업종이 제대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 카드 사용이 불가할 수 있음
08
of 11
참고2. 공공기관의 범위
① 국가기관
- 국회,법원,헌법재판소, 중앙선거관리위원회
- 중앙행정기관 (대통령 소속기관과 국무총리 소속기관을 포함한다) 및 소속기관
- 「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」에 따른 위원회
② 지방자치단체
③ 「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」제2조에 따른 공공기관
- 한국전력공사, 한국관광공사, 한국농어촌공사, 국민연금공단 등
④ 「지방공기업법」에 따른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공공기관
- 전남개발공사, 목포시·여수시·순천시·나주시·광양시·화순군·영암군·영광군 상수도·하수도, 목포시·순천시·광양시 공영개발, 여수시도시관리공단 등
※ 〈클린아이–지방공기업〉 설립현황
⑤ 「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」제2조 제1항에 따른 출자기관 및 출연기관
- 광주전남연구원, 전남신용보증재단, 전라남도중소기업진흥원, 시·군 의료원 등 ※ 〈클린아이–지방출자출연기관 설립현황〉에서 확인
⑥ 「유아교육법」,「초ㆍ중등교육법」,「고등교육법」에 따른 각급 학교 또는 그 밖의 다른 법률에 따라 설치된 학교
09
of 11
참고3.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Q&A
1. (연령) 사업은 만 19세부터 만 28세까지 매년 지원되나요?
☞ 지원조건 충족할 경우 매년 신청시 지원합니다. 매년 지원조건 (연령, 거주 요건)을 충족하고 사업을 신청한 경우 연 20만원씩 지원됩니다.
(예시) 2023년에 만 25세인 경우, 자격요건 충족시 만 28세가 되는 2026년까지 지원 가능합니다. (예시) 2023년에 만 28세인 경우, 2023년 1회만 지원 가능합니다.
2. (거주 요건) 주소지는 전남인데, 광주 등 다른 시·도에서 학교를 다니거나 군복무 중에도 신청 가능한가요?
☞ 네, 가능합니다. 현재 군복무중이거나 광주 등 타시도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지만 연령 (19세~28세)과 2021. 2. 1.부터 계속해서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전남으로 되어 있다면 신청 가능합니다.
3. (거주 요건) 하루라도 타시도로 주소가 되어 있는 경우 지원 가능한가요?
☞ 아니요, 불가능합니다. 거주요건은 2023. 2. 1. 기준 2년 이상 전남 도내 계속 거주하고 있어야하며, 2021. 2. 1.부터 하루라도 타 시도로 주소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원대상이 아닙니다.
4. (자격 요건) 연령과 거주조건 2년만 충족되면 소득기준과 상관없이 지원하나요?
☞ 네, 그렇습니다. 연령과 거주조건만 충족되면 개인의 소득기준과 상관없이 지원합니다. 단, 공공기관 근무자로서 복지포인트 (카드)를 지급받거나,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 (연 20만원), 여성 농어업인 행복바우처 (연 20만원)를 지원받는 경우에는 지급대상이 아니며,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는 차액 9만원만 지원됩니다.
5. 제외 대상인 공공기관 근무자는 범위는?
☞ 복지포인트 (카드)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는 제외대상으로 국가·지방 공무원, 국가·지방 공사·공단, 청원경찰, 공무직, 기간제 근로자 및 지자체 출연기관 근로자 등입니다.
6. 제외 대상인 학교 밖 청소년 교육 수당을 지급받는 자란?
☞ 도내 거주하는 만9세~24세 학교 밖 청소년 (학교를 다니지 않는) 중 지원센터 등록 후 수당 (월 20만원)을 지급받고 있는 자입니다.
7. (사업 신청) 사업은 매년 신청해야 하나요?
☞ 네, 매년 신청해야 합니다. 지원조건 충족시 매년 사업을 신청하여야 하고 대상자로 확정된 경우, 기 발급한 카드로 지원금을 카드 포인트로 지급해 드립니다.
(예시) 2022년에 지원금을 지급 받은 후 2023년 사업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지원사업 신청을 해야합니다. 대상자로 확정 후, 지원금은 기 발급한 카드로 지급 (자동충전)해 드리기 때문에 체크카드는 새로 발급하지 않아도 됩니다. ※ 사업신청 : 매년, 카드발급 : 첫 발급 1회만 (예시) 2023년에 처음 사업을 신청한 경우는 카드를 새로 발급해야합니다.
10
of 11
참고4.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문의처
시군 | 담당부서 | 팀명 | 문의처 |
목포시 | 청년인구과 | 인구정책팀 | 270-8505 |
여수시 | 청년일자리과 | 인구정책팀 | 659-3426 |
순천시 | 청년정책과 | 쳥년지원팀 | 749-4201 |
나주시 | 미래전략과 | 인구정책팀 | 339-7893 |
광양시 | 전략정책실 | 청년정책팀 | 797-2964 |
담양군 | 참여소통실 | 인구소멸대응팀 | 380-3216 |
곡성군 | 인구정책과 | 인구정책팀 | 360-2913 |
구례군 | 경제활력과 | 인구정책팀 | 780-2254 |
고흥군 | 인구정책과 | 청년희망팀 | 830-6028 |
보성군 | 인구정책과 | 인구청년활력팀 | 850-5975 |
화순군 | 기획감사실 | 인구정책팀 | 379-3257 |
장흥군 | 인구청년정책과 | 청년지원팀 | 860-6256 |
강진군 | 인구정책과 | 청년지원팀 | 430-3077 |
해남군 | 미래공동체과 | 청년팀 | 530-5062 |
영암군 | 인구청년정책과 | 청년정책지원팀 | 470-2553 |
무안군 | 미래성장과 | 청년AI팀 | 450-5735 |
함평군 | 인구경제과 | 인구정책팀 | 320-1724 |
영광군 | 인구교육정책과 | 청년지원팀 | 350-5196 |
장성군 | 일자리경제실 | 인구대응정책팀 | 390-7084 |
완도군 | 인구일자리정책실 | 인구정책팀 | 550-5277 |
진도군 | 인구정책실 | 인구청년팀 | 540-3818 |
신안군 | 귀촌지원센터 | 인구정책팀 | 240-8229 |
전라남도 | 인구청년정책관실 | 인구정책팀 | 286-2824 |